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홍보센터

인류의 미래를 바꾸는 탄소 소재 혁명, 인동첨단소재가 이끌어 나갑니다.

회사소식

[보도자료] 인동전자, 차세대 2차 전지용 음극재 개발 성공 (2019.12.19)

인동첨단소재 2020-06-18 조회수 39,393
[배포용]인동전자_음극재사진.png


인동전자, 차세대 2차 전지용 음극재 개발 성공

 



인동전자㈜ (대표이사 유성운, www.indong-electronics.com) 20191219그라파이트 방열 시트 제조업체인 인동전자㈜ (이하 인동전자)가 리튬 2차전지 배터리 음극재 사업에 뛰어든다. 음극재는 양극재, 전해액, 분리막과 함께 배터리 4대 구성 요소중 하나로, 양극에서 나온 리튬을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음극재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과 용량을 결정되기 때문에 4대 요소 중 가장 핵심 소재로 여겨지고 있다. 주 원료는 그라파이트(흑연)이다. 


 

인동전자는 전자기기 내부의 열관리를 위한 방열 제품 공급 업체로, 인조 흑연을 가공한 방열 시트를 주로 생산해 왔다. 다년간의 연구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 축적된 파티클 제어 및 미세 분말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음극재 개발을 추진한 결과, 입자를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여 최소 1㎛ 입자의 음극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음극재는 판상구조의 흑연을 구상화하는 공정을 거친다. 균일한 크기의 구상 분말을 생산하기 위해서 전체 흑연의 70%는 부산물로 처리되고, 구상화된 30%의 분말만이 음극재 재료로 쓰인다. 인동전자는 자사의 차별화된 파티클 제어기술로 버려지는 70%의 흑연부산물을 사용하여 더욱 미세한 입자(1~ 10)의 구상 흑연을 제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음극재(10~18)의 최대 18분의 1 수준으로, 흑연 입자가 작을수록 배터리의 고율충방전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기차∙ESS와 같이 고용량고속충전을 요하는 차세대 2차전지 시장에서 이용이 기대된다. 또한 폐기되는 부산물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가격 원가경쟁력도 뛰어나다는 평가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리튬이온 2차 전지 기준 배터리시장 규모는 급성장할 전망이다.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것은 전기차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시장 규모는 2019 612만대에서 2,025 2,213만대로 6년간 3배 이상 성장하고 전기차 배터리시장 역시 2016 25GWh에서 2025년 최대 1,000GWh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음극재가 배터리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 정도로, 전기차 1kW 1kg의 음극재가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시대가 다가오면서 배터리 적용범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지능(AI) 로봇, 드론 등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배터리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더욱 무궁무진 하다.

 

인동전자의 유성운 회장은 이번 흑연 음극재 시장 진출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수익성을 향상하는 한편 앞으로 인동전자가 미래 고부가가치 사업인 탄소시장을 이끄는 탄소소재 전문업체로 입지를 다지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